상업 인테리어라고 하면 흔히 식당이나 카페, 학원, 병원, 미용실, 헬스장 등의 업종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사무실도 상업 시설의 하나로, 인테리어에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 사무실 인테리어는 특별할 것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무실도 업체의 특성에 따라 공간 구성이나 배치, 디자인 등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고객센터나 서비스센터와 같이 내방 고객이 많은 사무실이라면 접객 공간과 업무 공간이 함께 마련되어야 하며, 회사 내에서 상담이나 큰 계약이 많다면 이를 위해 별도로 마련된 공간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업체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공간이 다르므로, 예산에 맞춰 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부 구조 설계 시에도 사무실의 크기와 구성원 수, 업무 스타일 등에 따라 사무 공간과 회의실, 탕비실, 휴게실 등을 계획해야 한다. 공간이 충분하다면 원하는 만큼 필요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지만, 공간이 협소하다면 파티션 등으로 공간을 구분하여 사무실과 업무 공간, 휴게 공간을 구분해야 한다. 이때는 공간의 중요성을 따져 우선순위를 정해야 하며, 회의실과 같이 독립된 공간이 필요하다면 가벽을 세우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업무 관련 인원이 사무실에 자주 방문한다면 회사의 첫인상을 좌우할 수 있는 출입문 디자인에도 신경을 쓰는 것이 좋으며, 색상을 체크해야 하는 업종의 경우에는 조명의 밝기나 색을 정할 때도 신중해야 한다. 냉난방 효율에 따라서도 업무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의를 통해 냉난방 설비를 갖추는 것이 좋다.

 

 

이와 관련해 상업 인테리어 전문 인테리어베이 관계자는 사무실은 업종과 예산, 구성원 수, 영업 형태 등에 따라 인테리어 시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매출 및 업무 효율과도 직결되는 부분으로,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인테리어를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인테리어베이는 업종에 따른 맞춤 인테리어를 위해 업종별 디자이너를 배치하고 있으며, 상담 시 전문가와의 실시간 1:1 상담을 지원하고 있다. 업종과 컨셉에 따른 포트폴리오도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원하는 맞춤 인테리어를 진행할 수 있다.

 

고객 니즈를 최우선으로 인테리어 디자인 설계를 진행하며, 이와 함께 업종 특성과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 등을 반영해 인테리어 전문성을 높인다. 고객 문의 후 방문 시에는 2D, 3D 디자인 설계를 무료로 제공하여 인테리어 완성 후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공사 중 사소한 부분이라도 고객과 의사소통을 통해 해결하여 고객 불만을 최소화하고 있다.

 

인테리어 완료 후에도 체계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하며, 높은 고객 만족도를 기반으로 2020~2022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고객만족 브랜드 인테리어 부문 1위에 3년 연속 선정된 바 있다.

 

 

 

 

 

 

 

출처 : 이넷뉴스 

이동준 기자

 원본링크 : https://www.en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77